04

2023 April + Vol. 563

2023

04

교정 논문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규율위반 수용자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하)

– 교류분석이론을 근거하여 -

한도완

부산구치소 보안과 교위

제1장 서론

제2장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제3장 TA 분노조절프로그램

제4장 연구방법

제5장 연구결과

제6장 연구의 요약 및 제언

제4장 연구방법

제1절 연구설계

본 연구는 교정시설 내에서 일탈행위로 인하여 규율을 위반한 수용자를 대상으로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유사실험설계모형(Quasi-Experimental Designs)을 활용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교류분석을 중심으로 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적용하지 않았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림1> 연구설계
X: 실험처치(TA에 근거한 분노조절프로그램)
O₁: 실험집단 사전검사 O₂: 실험집단 사후검사
O₃: 통제집단 사전검사 O₄: 통제집단 사후검사
제2절 연구가설

본 연구는 TA에 근거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규율위반수용자의 공격성과 충동성 감소 및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 증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가설 1. ‌TA에 근거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은 규율위반 수용자의 공격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 가설 2. ‌TA에 근거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은 규율위반 수용자의 충동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 가설 3. ‌TA에 근거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은 규율위반 수용자의 자기통제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 가설 4. ‌TA에 근거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규율위반 수용자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제3절 연구대상 설정

본 연구의 참여대상은 부산 시내에 위치한 P구치소 내에서 일탈행위로 인하여 규율을 위반한 수용자이다. 프로그램 실시에 앞서 2021년 3월 경 P구치소 내 심리치료센터에 본 연구의 목적과 성격을 알리고 참여의뢰를 요구하였다. 이를 통해 본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한 16명의 규율위반수용자를 무작위로 8명씩 한 단위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표2>와 <표3>에 제시되었다. TA 분노조절프로그램은 2021년 3월 12일~3월 29일까지 주 3회 60분 매주 월요일과 수요일, 금요일 4주간 실시하였으며, 참가자는 모두 중도이탈 없이 전 과정을 이수하였다.

제4절 인구사회학적 특성

인구사회학 정보를 알아보고자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3가지로 구성하였다. 먼저 만 나이, 성별, 범수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나이는 참여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였으며, 만 나이로 20세부터 29세까지로 구성되었다. 또한 성별은 모든 참여자가 남성이다. 범수의 형태는 초범(1), 재범(2), 3범 이상(3)으로 측정하였다.

<표2> 실험집단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표3> 통제집단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제5절 연구절차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구치소 내 심리치료팀에서 시간을 달리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첫날 오리엔테이션 시 프로그램의 목적과 절차 및 연구의 윤리적 측면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질문지를 이용하여 사전조사를 하였고, 8회기가 끝난 후 같은 질문지를 이용하여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사전사후 검사에 성실히 응한 16명이 무작위로 8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선정되었다.

제5장 연구결과

제1절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주요특성 동질성 비교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동질성 비교

본 연구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의 참여자는 모두 남성으로 연령은 22세(3명, 37.5%), 23세(3명 37.5%), 24세(1명, 12.5%), 25세(1명, 12.5%)으로 8명으로 구성되었다. 범수의 종류는 초범(4명, 50.0%), 재범(3명, 37.5%), 3범 이상(1명, 12.5%)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통제집단의 참여자 역시 모두 남성으로 20세(1명, 12.5%), 22세(1명, 12.5%), 23세(1명, 12.5%), 24세(1명, 12.5%), 25세(1명, 12.5%), 26세(1명, 12.5%), 27세(1명, 12.5%), 31세(1명, 12.5%)으로 8명으로 구성되었다. 범수의 종류는 실업집단은 초범(4명, 50.0%), 재범(3명, 37.5%), 3범 이상(2명, 12.5%)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은 초범(2명, 25.0%), 재범(4명, 50.0%), 3범 이상(2명, 25.0%)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연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4>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변수의 신뢰도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의 신뢰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변수의 적합지를 검증하기 위해 주요변수인 공격성 27문항 및 충동성 23문항과 자기통제력 10문항, 자기효능감 23문항으로 총 83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5>. 공격성의 척도 문항구성 및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0.913로 나타나 척도의 문항이 0.9이상의 척도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충동성의 척도 문항구성 및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0.898로 측정되었고, 자기통제력의 척도 문항구성 및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0.884로 조사되었으며, 자기효능감의 척도 문항구성 및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0.904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의 척도는 주요변수의 문항에서 내적합치도(Cronbach’s α)가 0.884~0.913로 매우 높은 척도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표5> 주요 변수의 신뢰도 검증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비교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결과는 <표6>과 같다. 공격성 점수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는 2.49(SD=.72)이며, 통제집단은 2.98(SD=.83)로 나타났다. 사전 공격성은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U 검정(Mann-Whitney U Test, 이하 U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확보되었다(Z=-1.210, .226, p>0.05). 충동성 점수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는 2.33(SD=.54)이며, 통제집단은 2.78(SD=.449)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 충동성이 통제집단보다 낮은 경향성을 보였으나 U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확보되었다(Z=-1.788, .074, p>0.05). 자기통제력 점수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는 2.35(SD=.92)이며, 통제집단은 3.00(SD=.72)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 자기통제력이 통제집단보다 낮은 경향성을 보였으나 U 검정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확보되었다(Z=-1.472, .141, p>0.05). 자기효능감 점수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는 3.47(SD=.59)이며, 통제집단은 3.24(SD=.64)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 자기효능감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경향성을 보였으나 U 검정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확보되었다(Z=-.841, .400, p>0.05). 따라서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의 주요변수 척도에서 U 검정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p>0.05).

<표6>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주요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제2절 TA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에서 집단 내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Wilcoxon 순위검증을 실시하였다.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내 사전-사후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내 사전-사후 평균 비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내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사후 평균 변화는 다음과 같다 <표7>.
우선, 실험집단의 공격성은 사전 평균 점수는 2.49(±.72)이며, 사후 평균 점수는 1.91(±.40)로 나타나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보다 프로그램 실시 후 공격성의 점수가 -.57(±.67)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충동성의 사전 평균 점수는 2.33(±.54)이고, 사후 평균 점수는 1.87(±.39)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보다 실시 후 충동성의 점수가 -.46(±.57)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의 사전 점수는 2.35(±.92)이며, 사후 평균 점수는 1.88(±.63)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보다 실시 후 자기통제력의 점수가 -.48(±1.16)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사전 점수는 3.47(±.59)이며, 사후 평균 점수는 4.26(±.53)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보다 실시 후 자기효능감의 점수가 .79(±40)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집단의 경우 분노조절프로그램 실시 후 공격성과 충동성, 자기통제력은 낮아졌으며, 자기효능감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통제집단의 공격성은 사전에 2.98(±.83)이고 사후에 3.08(±.72)로 .10(±.50) 증가하였으며, 충동성은 사전에 2.78(±.45)이고 사후에 2.67(±.36)로 -.10(±.3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은 사전에 3.00(±.72)이고 사후에 2.96(±.65) 으로 -.04(±.89)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사전에 3.24(±.64)이고 사후에 3.30(±.42)으로 .05(±.30)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 볼 때, 분노조절프로그램이 실험집단에는 긍정적 변화를 도출하였음을 예측할 수 있다.

<표7>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내 사전-사후 평균 변화
2. 주요변수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 검증

본 연구는 대상자들의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고 Wilcoxon 순위 검정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통제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8>.
먼저 공격성은 실험집단의 경우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낮게 나타난 사례는 7명이며, 평균 순위는 4.71, 순위 합계는 33.00이다. 사후 공격성의 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낮은 사례는 실제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인 사례로 8명 중 7명이 나타났으며, 양수순위는 평균 순위 3.00, 순위 합계는 3.00으로 나타나 높은 점수 차이를 보이고 있다. TA 분노조절프로그램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공격성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Z=-2.10, p<.05). 한편, 통제집단에서는 공격성의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낮은 사례는 5명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순위는 3.80, 순위의 합은 19.00으로 나타났다. 또한 3명의 사례는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의 평균 순위는 5.67 순위 합계는 17.00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Z=-.140, p>.05).

충동성은 실험집단의 경우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낮게 나타난 사례는 6명이며, 평균 순위는 4.50, 순위 합계는 27.00이다. 사후 충동성의 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낮은 사례는 실제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인 사례로 8명 중 6명이 나타났으며, 양수순위는 평균 순위 1.00, 순위 합계는 1.00으로 나타나 점수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분노조절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충동성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Z=-2.20, p<.05). 한편, 통제집단에서는 충동성의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높은 사례는 3명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순위는 5.00, 순위의 합은 15.00으로 나타났다. 또한 5명의 사례는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의 평균 순위는 4.20 순위 합계는 21.00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Z=-.421, p>.05).
자기통제력은 실험집단의 경우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낮게 나타난 사례는 5명이며, 평균 순위는 5.00, 순위 합계는 25.00이다. 사후 자기통제력의 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높은 사례는 실제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인 사례로 8명 중 3명이 나타났으며, 평균 순위 3.67, 순위 합계는 11.00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자기통제력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Z=-.980, p.>05). 한편, 통제집단에서는 자기통제력의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높은 사례는 2명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순위는 7.00, 순위의 합은 14.00으로 나타났다. 또한 6명의 사례는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의 평균 순위는 3.67 순위 합계는 22.00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Z=-.561, p>.05).
자기효능감은 실험집단의 경우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낮게 나타난 사례는 없었으며, 평균 순위는 .00, 순위 합계는 .00이다. 사후 자기효능감의 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높은 사례는 실제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인 사례로 8명 중 8명이 나타났으며, 평균 순위 4.50, 순위 합계는 36.00으로 높은 점수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자기효능감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Z=-2.52, p<.05). 한편, 통제집단에서는 자기통제력의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높은 사례는 5명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순위는 4.40, 순위 합계는 22.00으로 나타났다. 또한 3명의 사례는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의 평균 순위는 4.67 순위 합계는 14.00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Z=-.574, p>.05). 이러한 결과를 볼 때 TA 분노조절프로그램을 한 실험집단에서는 공격성과 충동성, 자기효능감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자기통제력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표8> 주요변수의 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 검증
a=(사후 < 사전), b=(사후 > 사전), c=(사후 = 사전)
*p<.05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사후 점수 변화량 비교

TA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한 두 집단 간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량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9>.
먼저 공격성의 실험집단의 평균 순위가 11.72 증가한 반면, 통제집단은 21.28 평균 순위가 증가하여 두 집단의 공격성의 변화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Z=-2.885, p<0.01). 충동성의 실험집단의 평균 순위가 11.03 증가한 반면, 통제집단은 21.97 평균 순위가 증가하여 두 집단의 충동성의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Z=-3.302, p<0.01). 자기통제력은 실험집단의 평균 순위가 11.59 증가한 반면, 통제집단은 24.41 평균 순위가 증가하여 두 집단의 변화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Z=-2.961, p<0.01). 자기효능감은 실험집단의 평균 순위가 20.63 증가한 반면, 통제집단은 12.38 평균 순위가 증가하여 두 집단의 변화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Z=-2.489, p<0.05). 위와 같이 TA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두 집단 간 사전-사후 점수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의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표9>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사후 점수 변화량 비교
*p<.05, **p<.01

제6장 연구의 요약 및 제언

제1절 연구의 요약

본 연구는 교정시설 내에서 일탈행위로 인하여 징벌처분을 받은 20대 남자 수용자를 대상으로 교류분석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8명으로 나누고 사전, 사후검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살펴본 결과 공격(Z=-1.210, .226, p>0.05), 충동성(Z=-1.788, .074, p>0.05), 자기통제력(Z=-1472, .141, p>0.05), 자기효능감(Z=-.841, .400, p>0.05)으로 집단 간 사전동질성 검증에서는 주요변수 유의확률이 통계표준 0.05보다 크기 때문에 유의미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확보되었다(p>0.05).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내 사전-사후 평균 비교를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공격성 -.57(±.67), 충동성 -.46(±.57), 자기통제력 -.48(±1.16), 자기효능감 .79(±40), 통제집단 공격성 .10(±.50), 충동성 -.10(±.32), 자기통제력 -.04(±60), 자기효능감 .05(±30)로 공격성과 충동성, 자기통제력은 낮아졌으며, 자기효능감은 높아진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 비교에서는 실험집단의 공격성 Z=-2.10, p<.05, 충동성 Z=-2.20, p<.05, 자기통제력 Z=-.980, p.>05, 자기효능감 Z=-2.52, p<.05, 통제집단에서 공격성 Z=-.140, p>.05, 충동성 Z=-.421, p>.05, 자기통제력 Z=-.561, p>.05, 자기효능감 Z=-.574, p>.05로 공격성과 충동성, 자기통제력은 낮아졌으며, 자기효능감은 높아진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간 사전-사후 평균점수 변화량 비교를 살펴본 결과 공격성은 실험집단 11.72, 통제집단 21.28로 변화량의 차이는 Z=-2.885, p<0.01이었고, 충동성은 실험집단 11.03, 통제집단 21.97로 변화량의 차이는 Z=-3.302, p<0.01 자기통제력은 실험집단 11.59, 통제집단 24.41로 변화량의 차이는 Z=-2.961, p<0.01, 자기효능감은 실험집단 20.63, 통제집단은 12.38로 변화량의 차이는 Z=-2.489, p<0.05로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제2절 제언

본 연구는 TA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규율위반수용자의 공격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정시설 내 규율위반자 대상으로 분노조절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해 보고자 한다.
첫째, 전국교정기관을 대상으로 징벌대상자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법 개정과 외부 심리관련 전문가 채용이 요구되며 기존 교정시설 내 심리치료 인력을 보강하여야 한다.
둘째, 징벌 재범 방지를 위하여 수용자에 대한 물리적 징벌위주의 개입도 중요하지만 처벌 위주의 대처 방식으로는 더 이상 교정시설 내 일탈행동을 감소시킬 수 없음을 인식하고 심리적 정서지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징벌의 관점이 전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징벌수용자 대상으로 교육적이고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개입프로그램의 병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교류분석이론뿐만 아니라 여러 심리이론을 절충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프로그램의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자발적 참여 수용자들로 구성되었으나 사전-사후 검사지가 자기보고식 응답으로 기입되어 효과성이 주관적일 수 있다. 따라서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과 현재 징벌중인 수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검증 방법의 도입이 요구된다.

〈참고 문헌〉

[국내 문헌]

•‌금혜령(2013).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적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희(2012). “어머니와 아동용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연구.”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규수·류태보(1996). 『교류분석치료』. 형설출판사.
•‌김남성. 1995.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김다윤(2019).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례(2008). “교류분석(TA)이론에 기초한 초기 청소년의 자아상태 및 스트로크와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183-200.
•‌김미례(2015). “교류분석적 관점에서 트라우마 이해하기.” :『교류분석상담연구』 5(1), 23-33.
•‌김미례(2017). 『교류분석 상담의 기초2』. 아카데미아.
•‌김미현·김민호·이영호(2009). “교류분석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상태와 생활자세 변화에 미치는 효과.”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6(1), 25-47.
•‌김민호·아영아(2011). “교류분석을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이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류분석상담연구』 1(1), 21-45.
•‌김수임·박민지(2020). “성인대상 분노조절 집단 프로그램 분석:2001~2019년 국내 연구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15(2), 447-465.
•‌김숙희(2013). “정서중심 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상호작용 및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세윤·최서윤·김범수(2007). “자아의식, 스트레스 및 인터넷 사용통제가 성인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지』 l6(1).
•‌김유진(2006).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대한 유아의 추론.” 『대한아동복지학회:아동복지연구』 4(2):63-78.
•‌김윤주(2011). “교류분석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2013).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규·김종호(2008). “3군 영관장교에 대한 자아상태와 스트로크에 관한 연구 : 교류분석(TA)이론을 중심으로”『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5(2): 27-43.
•‌김아영(2010). 『학업동기: 이론, 연구와 적용』. 학지사.
•‌김영회(2005). “교정학과 교육학의 비교.” 『한국교정학회』, 5(6):17-30.
•‌김유정(2007). “분노조절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유정(2007). “분노조절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진·박경규(2008). “다면평가 피드백 수용도 결정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지: 경영학연구』 37(4):661-689.
•‌김종호(2009). “교류분석(TA)이론의 이고그램(egogram) 척도개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진숙(2016). “스트로크를 활용한 진로집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희(2012).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준(2005). “기독교 상담을 중심으로 한 교류분석훈련 프로그램이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3(14): 16-29.
•‌김현주(2008).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부모의 분노수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일반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민·손정락(2013).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사회복귀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의 분노, 대인관계기술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스트레스연구』 21-2. •‌문은주(2011). “고등학생용 분노조절프로그램 개발.”『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 59(2):443-480.
•‌민은성(2012). “집단상담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인생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교류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택(2001).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희(2009). “미술매체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분노억제 청소년의 분노감 해소와 자기표현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소혜(1995).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과 학교생활 부적응과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수미(2015). “항공서비스관련학과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세나(2011). “초등학생의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신·김의철(2001). “청소년 학교폭력 행동과 환경 및 심리특성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5(2):25-52.
•‌박영희(2012). “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자녀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진·박경규(2008). “다면평가 피드백 수용도 결정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지: 경영학연구』 37(4):661-689.
•‌김종호(2009). “교류분석(TA)이론의 이고그램(egogram) 척도개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진숙(2016). “스트로크를 활용한 진로집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희(2012).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준(2005). “기독교 상담을 중심으로 한 교류분석훈련 프로그램이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3(14): 16-29.
•‌김현주(2008).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부모의 분노수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일반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민·손정락(2013).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사회복귀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의 분노, 대인관계기술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스트레스연구』 21-2.
•‌문은주(2011). “고등학생용 분노조절프로그램 개발.”『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 59(2):443-480.
•‌민은성(2012). “집단상담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인생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교류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택(2001).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희(2009). “미술매체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분노억제 청소년의 분노감 해소와 자기표현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소혜(1995).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과 학교생활 부적응과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수미(2015). “항공서비스관련학과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세나(2011). “초등학생의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신·김의철(2001). “청소년 학교폭력 행동과 환경 및 심리특성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5(2):25-52.
•‌박영희(2012). “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자녀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희(2010).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원모(2007). “교류분석 부모훈련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화 조절능력 강화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종구(2017). “교도소 여가활동이 폭력성향의 감소, 사회적 기술함양,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관광학회:관광학연구』 41(5):205-220.
•‌박지수(2013). “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 활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태영(2003).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수형자의 공격성과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현숙·이정숙(2013). “국내 탄력성 연구 동향분석 : 가정학 계열 학회지와 심리학회게재 논문을 중심으로(2000∼2013).”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8(2):23-41.
•‌배미현(2012). “스트로크 이론을 적용한 고객응대 교육이 순고객추천지수(NPS)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형미·이형실. 2002. “청소년 미혼모와 일반 청소년의 자아상태, 인생태도 및 가족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40(6):39-51.
•‌법무부(2017).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법무부(2020).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법무부(2020). 『교정통계연감』. 법무연수원.
•‌법무부 교정본부(2012). 『교정의 새로운 비전, 품격 있는 일류교정』. 법무부 교정본부.
•‌서수균·권석만(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임상』21(2): 487-501.
•‌서수균(2011).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양상의 매개효과.”『상담 및 심리치료』23(4):901-919.
•‌서혜석(2013). “도구를 활용한 교류분석집단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율성, 생활자세와 가족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인간이해』 34(2):34-59.
•‌서혜석(2014). “해병대 병사의 군생활 적응을 위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7(2):123-139.
•‌서혜석·이길구(2017). “교류분석을 적용한 개인 상담이 전자장치 부착 성폭력범죄자의 공격성,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 『교류분석상담연구』9(1):87-103.
•‌서윤주(2015).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위덕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윤주(2016). “교류분석 집단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위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성수나·이영호(2015). “스트로크 중심 TA집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류분석상담연구』5(2):57-77.
•‌손선미(2012). “교류분석(TA)이론을 기초한 집단미술치료가 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지은·황순택·전미주(2009). “분노수준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2):213-227.
•‌송태호(2003). 『교정교육학』. 청문사.
•‌송희자(2010). 『교류분석개론』. 시그마프레스.
•‌신수경·김현정(2013).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 미디어 연구』. 12(3)
•‌신효식·김근화(2004). “중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한국가정과학회지』 7(2): 47-58.
•‌심응철(1999). “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격성과 폭력행동의 상관관계.” 『한국심리학회지』12(2):24-34.
•‌안진희(2012). “분노조절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집단에 미치는 효과: 우울, 분노, 자아존중감, 자살사고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기숙(2007). “반사회성 성격장애를 가진 살인범 집단의 공격성과 충동성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재현(1995). 『이고그램 243패턴』. 정암서원.
•‌우재현(2015). 『(심성개발을 위한)교류분석(TA)프로그램』. 정암서원.
•‌이경님(2000). “아동의 자기-통제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인간발달연구』7(1): 99-120.
•‌이경범(2000). “수형자의 MMPI특성과 수형생활형태와의 관계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숙(2013). “반사회적 특성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APSD로 측정한 냉담/비정서, 자기애, 충동성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동자·이효신(2010).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어린이집 교사와 유아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교류분석연구』1(1):29-49.
•‌이선자(2014). “어머니의 스트로크가 유아 또래 간 인기도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희(2009). “상습규율위반자 교정시설 적응력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한국교정학회』45:63~93.
•‌이은미(2000). “교류분석(TA) 프로그램이 결손가정에서 자란 청년의 자율성 및 인생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아(2013).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개발.”, 경성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은아·천성문(2013).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 및 심리치료』25(3):477-495.
•‌이장호·정남운·조성호(2011). 『상담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이재일(200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성 아동의 귀인양식 및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명, 김인규(2007). “교류분석을 통해서 본 재가불자들의 자아상태와 스트로크에 관한 연구.”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4(1):19-45.
•‌이철호·이민규(2007).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분노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사회 및 성격』21(1):35-46.
•‌이현수(1992). 『충동성검사』. 한국가이던스.
•‌유철민(2002). “분노조절 집단상담이 수형자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옥경(2011). “교도소 수형자의 규율위반 행동에 대한 분석: 피해 경험과 절차적 공정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 87:391-424.
•‌윤현경(2017). “초,중등학생의 자기 역량에 대한 평가유형과 공격성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장구은(2020). “가족기능이 중학생의 인터넷 게임 장애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병금(2008). “TA 이론에 기초한 고등학생의 자기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유정(2004). “부모로부터 학대받은 경험이 자기통제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윤미(2003). “스트로크기법 중심의 교류분석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정기(1998).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교류분석 이론 고찰.” 『신라대학교 논문집』45:545-579.
•‌조정미·최경희·김장회(2018). “교류분석 자아상태 프로파일에 따른 직업유형과의 관계 및 직업분류.” 『교류분석상담연구』8(2):123-149.
•‌조현분(2007). “중학생의 자아상태, 인생태도, 공격성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수길(1989). “집단상담이 수형자의 자아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갑섭(1996). 『교정심리학』. 경기도서.
•‌정경아(2016). “청소년의 우울, 불안, 충동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미선(2014).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한 부모의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안순(2008). “교류분석 프로그램적용이 빈곤아동의 자아상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스트로크 기법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운선(2009). “수용자 징벌의 효과 제고방안.”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종진(1991). “공격행동의 유발요인과 매체폭력의 영향에 관한 문헌고찰.”,『학생지도연구』 17:61-91.
•‌정혜원·박성훈(2011). “낮은 자기통제력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유대요인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범죄비행학회: 범죄와 비행』 1:189-207.
•‌제석봉·최외선(2006). “TA교류분석의 이론과 실제.” 한국 TA연구소.
•‌제석봉(2010). “교류분석과 그리스도교 영성발달.”『교류분석연구』1(1):73-86.
•‌제석봉·최외선·김갑숙·윤대영(2016).『현대의 교류분석: Ian Stewart. Vann Joines, 2007, Ta Today』. 학지사.
•‌제석봉·최외선·김갑숙·윤대역 공역(2010). 『현대의 교류분석』. 학지사.
•‌천성문(1999). “신경증적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경환(2013).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재소자의 자기효능감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경환·김태익·허창덕(2014). “수형자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관한 교류분석 프로그램의 효과 및 교정상담 적용 가능성 연구.”『형사정책연구』 25(1), 1-29.
•‌최낙균(2007). “REBT 집단상담이 수형자의 공격성·충동성 및 희망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혜승(1996).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자기통제성 및 비행회기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애나(2007). “음악치료가 소득계층별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층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옥채(2007). “얕은 욕망과 깊은 열등감의 발산: 범죄에 관한 인문학적 이해.” 『전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목요포럼 자료집: 미발행.
•‌최형선(2017).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혜숙(2006). “또래상담 훈련과 활동이 또래상담자 및 소속 학급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하창순(2004). “한국판 자기 통제력(self-control) 척도 타당화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진원(2011).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호성(2007). “자기조절의 주요변인으로서의 자기통제력과 자아탄력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경숙·성승연(2014). “교류분석을 활용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내외 통제성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1):29-51.
•‌황재한(1999). “BPD경향성집단과 ADD경향성집단의 충동성의 차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성열(2000). 『범죄심리학』. 학지사.

[국외 문헌]

•‌Aronson, E.(980) Socialanimals. New York: W. H. Freeman & Company.
•‌Bandura, A.(1973). Aggression:A sociallearning analysis.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Barratt, E. S.(1983). The biological basis of impulsiveness : The significance of timing and rhythm disord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4(4), 387-391.
•Berkowitz,L.& Lepage, A.(1967).Weapons as aggression-eliciting stimuli.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 202-207.
•Berkowitz, L.(1993). On the formation and regulation of anger and agg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45, 494–503.
•‌Berne E.(1996). “Game people play” New York: grove Press.
•‌Berne, E(1964). “Games People Play”. New York: Grove Press. 김홍용·우재현 역. 1993. 『심리적 게임』. 대구: 정암서원.
•‌Buss, A. H.(1961). The psychology of aggression .New York: John Wiley & Sons.
•Buss, A. H, & Perry, M.(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452-459.
•‌Harrison, J. K, Chadwick, M, & Scales, M.(1996). There relationship between cross-cultural adjustment and the personality variables of self-efficacy and self-monito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 cultural Relations, 20(2): 167-188.
•Dusay, J. M.(1977). “Egogram : How I see you and you see me” New York: Bantom Press.
•Gaylin, W.(1984). The rage within. New York: Plenum Press. •‌Gottfredson, M. R., & Hirschi, T.(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Grasmick, H. G., Tittle, C. R., Bursik, R. J., & Arneklev B. J.(1993). Testing 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s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30,5-29.
•‌Napper R.(2009). Comparison between Transactional Analysis and Positive Psychology. Transactional Analysis & Psychological Therapy, 6(1): 1-23.
•‌Patton, J. H, Stanford, M. S, & Barratt, E. S.(1995). Factor Structure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 768-774.
•‌Scherbaum, C. A., Cohen-Charash, Y., & Kern, M. M.(2006). Measuring general self-efficacy: A comparison of three measures using item response theor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6(6), 1047-1063.
•‌Schwarzer, R., & Jerusalem, M.(1995). Self-efficacy measurement and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In J. Weinman, S. Wright, & M. Johnston(Eds.), Measures in health psychology: A users' portfolio(pp.33-39). Windsor: Neer-Nelson.
•‌Spielberger, C. D, Krasner, S. & Soloman, E. P.(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P. Janisse (Ed.),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pp. 89-108). Ner York: Springer-Verlag.
•‌Stewart, I. & Joines, V.(2010). 현대의 교류분석[TA today]. 제석봉, 최외선, 김갑숙, 윤대영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87에 출판)
•‌Stewart, I. and Vann, J. 1987. “TA today: A New Introduction to Transactional Analysis”. Lifespace Pub.